본문 바로가기
여행/여행꿀팁

우리나라 최초의 배는 무엇일까?

by #$@@ 2021. 8. 6.
반응형

오늘은 우리나라 최초의 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우리는 배를 여행 이동수단으로도 사용하지만 물류에 있어서는 정말 중요한 이동수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배가 발전하게 된 이유도 최초의 배가 있기 때문인데요.

 

배

우리나라 최초의 배

최초의 배를 알기 위해서는 아주 고대로 올라가는데요. 우리나라는 특히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물에서 이동하는 이동수단이 필요했다고 합니다. 때문에 8천년전 나무토막으로 배를 만들기 시작했으며 긴 형태의 배를 발명하였고 그 배를 타로 고래와 물고기를 사냥하러 다녔다고 하는데요.

 

그 후 고려시대로 넘어와 다른나라의 침략 및 전쟁으로 인해 물에서 싸우는 일이 허다했습니다. 때문에 병선의 건조가 시급했고 일본과 여진족의 침략의 대비목적으로 수많은 병선을 만들게 되는데요. 제일 큰것은 100~200명의 수군이 탑승할 수 있는 병선을 만들게 되었고 이때 배를 만드는 기술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시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 후 조선시대로 넘어와 군선, 대맹선, 중맹선, 소맹선 등 많은 종류의 배가 생기게 되었고 대맹선은 100명이상이 탈 수 있는 배였고 중소맹선은 30~60명이 탑승이 가능했다고 합니다.

 

또한, 비 전투용인 함선도 많이 만들어 어업에 일조를 했다고 하는데요. 조선시대 배의 특징으로는 길이는 짧아지고 폭이 넓어졌단 점과 해양 방어용이기 때문에 선재의 판을 두껍게 재작하여 방어율을 높였지만 속도는 그만큼 떨어졌다고 합니다.

 

이 후 탄생된것이 거북선인데요. 조선시대 들어 일본의 침략으로 해전은 일상이 되었다고 하며 특히 왜구가 배에 못들어오게 하는 방법을 강구하는 동안 위가 막힌 배를 만든것이 바로 거북선입니다.

 

근대에 들어서는 우리나라 배는 조선업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군함 및 물류 선박을 만드는데 치중을 하고 있죠.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진 탓에 아무래도 조선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는듯 싶습니다.

 

이렇게 오늘은 우리나라 최초의 배와 역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다음으로는 우리나라 최초의 자동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